WeekendLife/photo+video

[사진장비]니콘 크롭 렌즈를 풀프레임에서 쓰면... (af-p 18-55mm DX)

2020. 2. 9.


af-p 18-55mm DX

크롭 렌즈는 싸다.

풀프레임 렌즈는 비싸다.

 

 

크롭 렌즈를 사서, 풀프레임 바디에 사용하고 싶다.

누구나 한번쯤 해봤을 생각이고,

카메라 커뮤니티에서 자주 등장하는 떡밥이다.

 

짤림

풀프레임용 렌즈가 비싼 이유는 센서를 덮을 만큼의

렌즈사이즈를 맞춰줘야 하기 떄문이겠지.

 

 

고로, 크롭 바디용 렌즈를 사용한다면, 렌즈가 닿지 않는 부분의

센서 영역은 시커멓게 나오겠지...

 

라고 쉽게 얘기하지만 실제로 보면 살짝 낯설고 매우 구려보인다.

하지만, PC에 옮겨서 이리저러 보다보면,

아.. 이런거구나 싶을 정도로 익숙해진다.

 

 

 

테스트에는 D750과 AF-P 18-55mm DX 렌즈가 사용되었다.

D750는 풀프레임이지만, 1.2x 크롭모드와 1.5x 크롭모드가 가능해서 테스트가 수월하다.

모든 샘플은 모두 18mm로 두고 테스트 해봤다.

 

 

1x 풀프레임 모드

자동차를 찍은건 아니지만...

적어도 비네팅 걱정은 안해도 될만큼 시원한 동굴이 생긴다.

D750이 2400만 화소이니, 6xxx*4xxx 사이즈로 촬영되며, 적당히 후보정으로 짤라내면 사용이 가능하다.

 

 

 

1.2x 크롭모드

꼬진 렌즈를 사용하면 가끔 보이는 비네팅 정도이며, 밤이라 많이 티나지 않는 것처럼 보인다.

5xxx*33xx 사이즈로 촬영되며, 뭐 그냥 써도 되지 머 이정도면....

 

 

 

1.5x 크롭모드

크롭바디에서 사용한 모습과 동일한 1.5x 크롭모드.

비록 센서의 중앙만 사용하게 되어 사진 사이즈가 39xx * 26xx가 되지만,

DX렌즈를 사용하는데 전혀 문제가 없음이 확인이 된다.

 

 

 

하위호환

캐논은 잘 모르겠지만, 니콘은 잘 된다. D750의 경우 크롭렌즈를 끼면 자동으로 크롭으로 전환이 되지 않아서..

선택지가 생기니 더 좋은 것 같다.

D5300에서 D750으로 옮길때, 허겁지겁 렌즈를 풀프레임 렌즈로 변경했었는데, 서두를 필요가 없던 것이었지..

 

 

함정

DX렌즈도 N렌즈나, 아트렌즈같은건 비싸다.

F마운트의 유일한 장점이라고 할까, 싼 풀프렌즈가 많다는 점은.. 구지 이 기능을 쓰기 위해 DX렌즈를 고려하지 않게 만들지만,

AF-P 번들을 하나 사본김에 테스트를 해봤다.

 

 

화질은..글쎄...

이 고스트는... 또 뭐지;;